본문 바로가기
● 돈불럿다잉💸

집을 담보로 돈을 빌린다고? 부동산 용어의 모든 것 정리

by 네컷요정🍓 2025. 5. 8.
반응형
SMALL

“집 이야기 나라에서 배우는 부동산 용어!”

옛날 옛적, '집 이야기 나라'에는 땅, 집, 아파트들이 살고 있었어요. 사람들은 이 친구들을 사고팔고 빌리기도 했답니다. 그런데 이런 일에는 꼭 필요한 말들이 있었어요. 우리 함께 알아볼까요?

[부동산 용어]
     │
     ├─ [부동산이 뭐야?]
     │     └─ 집이랑 땅은 움직이지 않아
     │
     ├─ [전세 vs 월세]
     │     ├─ 전세: 한 번에 돈 맡기고 살기
     │     └─ 월세: 매달 돈 내고 살기
     │
     ├─ [매매는 뭐야?]
     │     └─ 집을 사고파는 거래
     │
     ├─ [담보는 뭐야?]
     │     └─ 집을 잠깐 맡기고 돈 빌리는 거야
     │
     ├─ [대출이 뭐야?]
     │     └─ 돈이 부족할 때 잠깐 빌리는 거야
     │
     ├─ [이자도 알아야 해!]
     │     └─ 빌린 고마움 표시로 돈 더 주는 거
     │
     └─ [등기랑 청약?]
           ├─ 등기: 집에 이름표 붙이기
           └─ 청약: 새집 뽑기 티켓 신청!

1. 부동산 = 움직이지 않는 친구

비유: 집이나 땅은 움직이지 않는 보물상자예요.
정의: 땅, 건물, 아파트처럼 자리에 붙박여 있는 재산을 말해요.
예시: “이 집은 우리 가족의 부동산이야!”

2. 매매 = 사고팔기 놀이

비유: 집을 사고팔기 하는 블록놀이처럼 생각해보세요!
정의: 집이나 땅을 돈 주고 사고팔 때 쓰는 말이에요.
예시: “우리 가족은 이번에 새 아파트를 매매했어요!”

3. 전세 = 돈 맡기고 빌려 쓰기

비유: 큰 돈을 맡기고, 집을 빌리는 게임이에요.
정의: 일정한 큰돈(보증금)을 맡기고, 매달 돈은 안 내고 집에 사는 방식이에요.
예시: “우리는 전세로 이사 왔어요! 대신 돈을 한 번에 많이 맡겼어요.”

4. 월세 = 매달 집 사용료 내기

비유: 매달 입장료 내고 집에 들어가는 놀이공원 같아요.
정의: 집을 빌리고, **매달 일정한 돈(월세)**을 내는 방식이에요.
예시: “우리 집은 월세라서 매달 은행에 돈을 보내요.”

5. 임대 / 임차 = 빌려주는 사람 vs 빌리는 사람

비유: 내 장난감을 친구에게 빌려주는 놀이

임대인: 장난감을 빌려주는 친구

임차인: 장난감을 빌리는 친구

정의:

임대 = 집을 남에게 빌려주는 것

임차 = 집을 남에게 빌리는 것

예시:
“집 주인이 임대인이고, 우리는 임차인이에요!”

6. 담보 = 믿고 맡기는 집 열쇠

비유: 은행에 집 열쇠를 잠깐 맡기고 돈을 빌리는 거예요.
정의: 돈을 빌릴 때 ‘이 사람 믿어도 돼요!’ 하고 맡기는 물건이에요.
예시: “우리 가족은 아파트를 담보로 돈을 빌렸어요.”

7. 대출 = 잠깐 돈 빌리기

비유: 친구에게 용돈 빌리는 것과 같아요.
정의: 돈이 부족할 때, 은행이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리는 것이에요.
예시: “엄마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대요.”

8. 이자 = 돈 빌린 값으로 주는 보너스

비유: 친구에게 용돈 빌리고, 감사 초콜릿 주는 것 같아요.
정의: 돈을 빌린 대가로 조금 더 얹어서 갚는 돈이에요.
예시: “대출은 돈을 갚을 때 이자도 같이 갚아야 해요.”

9. 등기 = 이름표 붙이기

비유: 내 물건에 이름표 붙이기예요.
정의: 이 집이 누구 건지 나라에 알려주는 절차예요.
예시: “아빠 이름으로 집 등기를 했대요!”

10. 청약 = 집 추첨 응모하기

비유: 새 아파트 뽑기 티켓 응모 같아요!
정의: 새로 지은 집에 살 기회를 얻기 위해 신청하는 것이에요.
예시: “엄마가 청약 넣었는데, 이번엔 떨어졌대요...”
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