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MALL
1. 금리 (Interest Rate) : 돈에 붙는 가격💰
쉽게 말하면?
"돈 빌리면 내야 하는 값!"
"은행에 맡기면 주는 보너스!"
예시로 이해하기
- 민수가 친구한테 1,000원을 빌렸어.
- 친구가 “100원 더 줘!”라고 했어. (10%)
→ 이 100원이 바로 '금리'야!
돈 빌릴 때 | 이자 내야 해요! (돈 빌린 대가) |
은행에 맡길 때 | 이자 받아요! (맡긴 보상) |
2. 채권 (Bond) : 돈 빌려주는 약속 종이📜
쉽게 말하면?
"돈 빌려주고 나중에 돌려받는 약속서!"
예시로 이해하기
- 나라가 돈이 필요해서 채권을 팔아.
- 민수가 나라에 10,000원을 빌려줘!
- 나라가 "나중에 이자까지 얹어서 갚을게요!" 하고 약속해.
→ 이 약속 종이가 ‘채권’이야!
개념 | 연결이유 |
금리와 채권 | 금리가 올라가면, 새로 나온 채권이 더 많은 이자를 줘서 인기가 많아져! |
채권과 연금 | 연금에서 채권을 사서 안전하게 이자 받는 경우가 많아. |
금리와 연금 | 금리가 높으면, 연금도 더 이자를 많이 받을 수 있어. |
🎈비유:
이 셋은 도미노처럼 연결되어 있어. 하나가 움직이면 나머지도 바뀌는 거야!
🔎 LTV, DTI, DSR을 먼저 한눈 비교
LTV | 집값 대비 얼마까지 빌릴까? 집값 대비 빌리는 돈 | 케이크값 몇 퍼센트까지 빌리기 |
DTI | 내 월급 대비 얼마까지 갚을까? 월급 대비 갚는 돈 | 용돈 중 몇 퍼센트만 갚기 |
DSR | 빌린 돈 전체 대비 얼마나 갚을까? 모든 빌린 돈 합쳐서 갚는 능력 체크 | 체력 점검! 모든 빚 한 번에 따지기 |
3. LTV (Loan To Value)
쉽게 말하면?
"집값 중에서 얼마까지 빌려줄 수 있나요?"
집값이 1억 원인데, LTV가 70%라면? |
→ 7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어! |
→ LTV는 '집값 대비 대출 비율'이야!
4. DTI (Debt To Income)
쉽게 말하면?
"벌이에 비해 대출이 너무 많진 않을까?"
민수의 연봉이 3천만 원이야. |
DTI가 40%면, 1,200만 원까지만 대출 가능! |
→ 소득 대비 대출액 비율을 계산한 거야!
5. DSR (Debt Service Ratio)
쉽게 말하면?
"민수가 매달 갚아야 할 돈은 총 얼마야?"
민수는 대출이 2개 있어. |
→ A대출 매달 20만 원, B대출 매달 30만 원 |
→ 월 50만 원 = 이게 DSR 계산에 들어가는 돈이야! |
→ "전체 대출 갚는 능력"을 보는 거야!
요약
금리 | 돈 빌릴 때 내는 돈 | 친구한테 1,000원 빌리고 100원 더 주는 것 |
채권 | 돈 빌려주고 이자 받는 약속서 | 나라에 돈 빌려주고 이자 받기 |
LTV | 집값 기준 대출 비율 | 1억짜리 집이면 7천까지 대출 가능 (LTV 70%) |
DTI | 소득 대비 대출 가능 비율 | 연봉 3천이면 대출 1,200만 원 (DTI 40%) |
DSR | 대출 상환 부담 비율 | 매달 갚는 돈 총합 = DSR 계산 기준 |
"돈을 빌릴 때, 얼마나 빌릴 수 있고 얼마나 갚을 수 있는지 따지는 게 LTV, DTI, DSR이에요!"
"그리고 금리는 이자, 채권은 돈 빌려주고 받는 약속!"
연금이란? : 늙어서도 꺼내 쓰는 저금통🐷
연금은 "나중을 위해 돈을 모아두는 것"이야.
- 지금은 돈이 필요 없어도,
- 나이가 많아져서 일하기 힘들 때나,
- 아플 때나,
- 갑자기 돈이 필요할 때
도와주는 돈이야!
"미리 저금해두는 특별한 돼지저금통" 이라고 생각하면 좋아!
왜 연금이 필요할까?
나이가 들면 일하기 힘들어져 | 할머니, 할아버지가 매일 일할 수는 없지? |
갑자기 아프면 일 못할 수도 있어 | 병원비도 필요해. |
오래오래 살면 돈도 오래 필요해 | 90살, 100살까지 사는 사람도 많아! |
미리 준비하면 걱정 줄어들어 | "나중에 돈 없으면 어떡하지?" 걱정 줄이기! |
연금의 종류
국민연금 | 나라가 도와주는 연금이야. 모두가 조금씩 내고, 나중에 필요할 때 받아! |
개인연금 | 내가 내 돈으로 따로 준비하는 연금이야. (엄마, 아빠가 은행이나 보험사에 가입할 수 있어!) |
퇴직연금 | 회사에서 일할 때 조금씩 모았다가 퇴직하면 받는 거야. 회사가 도와주는 연금! |
연금은 어떻게 작동할까?
1. 매달 조금씩 돈을 모아.
2. 오랫동안 모으다 보면 돈이 많아져!
3. 나중에 필요할 때, 조금씩 꺼내 쓰는 거야.
→ 오늘 저금한 100원이
나중엔 200원, 300원이 되어 돌아올 수도 있어!
(은행이 이자를 주거나, 투자해서 돈이 불어나기도 해!)
연금과 저금은 뭐가 다를까?
목적 | 사고 싶은 걸 살 때 쓰려고 모아 | 나중에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돈을 준비 |
쓰는 시기 | 언제든 꺼내쓸 수 있어 | 약속한 때(나이 많아질 때) 꺼내 쓸 수 있어 |
- 저금은: "장난감 사고 싶어서 모으는 돈"
- 연금은: "미래에 꼭 필요할 때 쓰려고 미리 모아두는 돈"
요약!
"연금은, 나중을 위해 오늘 조금씩 모아두는 특별한 저금이에요!"
🔖 마무
- 금리는 돈의 가격이다!
- 채권은 돈을 빌려주는 약속이다!
- 연금은 나이 들어서 받는 월급이다!
- 이 셋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요!
- 조금만 알아도 나중에 큰 도움이 돼요!
#금리 #채권 #LTV #DTI #DSR #연금 #경제공부 #금융상식 #부업소득 #대출규제 #이자율 #은행이자 #주식배당 #종합소득세 #경제기초 #재테크시작 #초보경제 #금융기초 #자산관리 #미래준비
반응형
LIST
'● 돈불럿다잉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타소득부터 종합소득세까지, 나만 모르면 손해, 꼭 알아야 할 세금 상식! 세금, 종합소득세💵✨ (2) | 2025.04.27 |
---|---|
과세, 분리과세, 종합과세 모르면 나만 손해? 나만의 세금체크리스트💵🏛️➕ ➗ (4) | 2025.04.27 |
일본 쌀값이 왜 이렇게 올랐을까?🍚사라지는 쌀, 일본 밥상의 위기 (0) | 2025.04.25 |
세입자 필독,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으로 달라진 5가지 (1) | 2025.04.24 |
대학생 학자금 대출🎓,한국장학재단, 중도상환 등 모든 것📘✨🧾 (1) | 2025.04.24 |